안녕하세요 최고의 정보를 찾는 K-EXPLORER입니다
모든 직장인이라면 공휴일을 기다리시조? 2025년도 공휴일을 총 정리해드리겠습니다. 1월부터 12월까지 언제 공휴일이고, 언제 휴가를 쓰면 장기간 여행 갈 수 있는지 까지 찝어드리겠습니다월별 달력과 함께 , 분기별로 정리하였으니 참고해주세요! 미리미리 계획하여 징거다리 휴일이나 황금 연휴 때, 해외 여행 다녀오세요~!
1. 2025년 공휴일 요약
1. 2025년 공휴일 총정리
2025년 공휴일은 총 17일 입니다. (최근 개정된 설 대체공휴일 1월 27일 포함)
가. 1월~3월(1분기)
- 2025년 1월 1일(수) : 신정
- 2025년 1월 28일(화)~30일(목) : 설날 연휴
- 2025년 1월 27일(월) : 설날 연휴 대체공휴일
* 1월 27일(월) ~ 30일(목) 4일 휴일이니, 1월 31일(금) 연차 붙이면 길게 쉴 수 있어요!
- 2025년 3월 3일(토) : 삼일절 3월 1일(토) 대체공휴일
나. 4월~6월(2분기)
- 2025년 5월 1일(목) : 근로자의 날
- 2025년 5월 5일(월) : 어린이날 및 부처님오신날
- 2025년 5월 6일(화) : 어린이날 및 부처님오신날 대체공휴일
* 5월 2일(금) 연차 쓰면 5월 1일(목) ~ 5월 6일(화) 황금연휴 가능합니다!
- 2025년 6월 6일(금) : 현충일
다. 7월~9월(3분기)
- 2025년 8월 15일(금) : 현충일
라. 10월~12월(4분기)
- 2025년 10월 3일(금) : 개천절
- 2025년 10월 5일(일) ~ 10월 7일(화) : 추석 연휴
- 2025년 10월 8일(수) : 추석 연휴 대체공휴일
- 2025년 10월 9일(목) : 한글날
* 10월 4일(토) ~ 10월 9일(목) 6일 휴일이니, 10월 10일(금) 연차 붙이면 9일 이상 길게 쉴 수 있어요!
- 2025년 12월 25일(목) : 성탄절
* 12월 26일(금) 연차로 주말까지 4일 휴일 만들 수 있어요
2. 2025년 월별 달력(1월 ~ 12월)
월별 달력 현황 공유드리겠습니다~!
빨강색이 휴일이고, 동그란 빨강색 일자에 연차를 쓰시면 황금연휴 가능합니다
[1월]
- 2025년 1월 1일(수) : 신정
- 2025년 1월 28일(화)~30일(목) : 설날 연휴
- 2025년 1월 27일(월) : 설날 연휴 대체공휴일
* 1월 27일(월) ~ 30일(목) 4일 휴일이니, 1월 31일(금) 연차 붙이면 길게 쉴 수 있어요!

[2월]
2월 공휴일 없음

[3월]
- 2025년 3월 3일(토) : 삼일절 3월 1일(토) 대체공휴일

[4월]
4월 공휴일 없음

[5월]
- 2025년 5월 1일(목) : 근로자의 날
5월 2일(금) 연차 쓰면 황금연휴 가능합니다!
- 2025년 5월 5일(월) : 어린이날 및 부처님오신날
- 2025년 5월 6일(화) : 어린이날 및 부처님오신날 대체공휴일

[6월]
- 2025년 6월 6일(금) : 현충일

[7월]
7월 공휴일 없음

[8월]
- 2025년 8월 15일(금) : 현충일

[9월]
9월 공휴일 없음

[10월]
- 2025년 10월 3일(금) : 개천절
- 2025년 10월 5일(일) ~ 10월 7일(화) : 추석 연휴
- 2025년 10월 8일(수) : 추석 연휴 대체공휴일
- 2025년 10월 9일(목) : 한글날
* 10월 4일(토) ~ 10월 9일(목) 6일 휴일이니, 10월 10일(금) 연차 붙이면 9일 이상 길게 쉴 수 있어요!

[11월]
11월 공휴일 없음

[12월]
- 2025년 12월 25일(목) : 성탄절
* 12월 26일(금) 연차로 주말까지 4일 휴일 만들 수 있어요

2. 마무리
오늘은 2025년도 1월~12월 공휴일(달력 포함)이 언제인지, 언제 쉬면 황금연휴를 만끽할 수 있는지 알아봤습니다!
해당 포스팅에 월별 달력도 있으니 빠르게 확인하여 여행을 계획해보세요!
저도 올해 징검다리 휴가를 만들어서 해외여행 계획중이랍니다! ㅎㅎ
이만 포스팅 마치겠습니다~! 양질의 정보로 다시 찾아뵙겠습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보험 보수월액 확인 및 계산 방법 총정리(금융제도 적용 기준, 건강보험료율, 보험료 갱신 시점 등) (0) | 2025.04.13 |
---|---|
연차 발생 기준 계산(Feat. 신입(1년 미만), 퇴직 연차 수당 기준 포함) (0) | 2025.02.02 |
2025년 최저임금(시급) 10,030원(Feat. 만원 돌파, 인상률, 주휴수당, 위반 시 처벌사항) (0) | 2025.01.13 |
고향사랑기부제 연말정산 세액공제 100%와 답례품 3만원 신청방법(정의, 혜택, 신청 방법 등) (0) | 2024.12.13 |
국세 지방세 완납증명서 발급 방법(유주택 필독) (1) | 2024.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