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및 생활정보

예상 사학연금 퇴직일시금, 퇴직연금 수령액 조회 방법(대상자, 계산방법, 지급 개시 시점 등)

by K-EXPLORER 2025. 4. 15.
728x90
반응형

♣ 안녕하세요 최고의 정보를 찾는 K-EXPLORER입니다 

안녕하세요 학교(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대학병원 등에 재직하고 있는 교수, 교사, 사립학교 교직원[대학병원(행정직, 간호사, 의료기술직), 대학교]들은 사학연금법에 따라 모두 사학연금관리공단에서 관리하는 사학연금 지급 대상입니다. 

요즘 국민연금, 공무원연금, 군인연금, 사학연금, 모든 연금에 대해 말이 많지만, 사학연금 지급 대상자들은 매달 월급에서 사학연금을 공제하는 금액을 보면서 왜 이렇게 많이 떼고, 퇴직연금도 별도로 없는데 국민연금보다 왜 이렇게 많이 떼는지 억울 했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사학연금은 공제율(떼가는금액)이 높은 만큼 노후에 퇴직연금으로 받는 금액이 커지니 모두 힘내시길 바랍니다. 

 

오늘 포스팅에서 사학연금관리공단에서 예상 퇴직연금 및 퇴직일시금을 조회하는 방법, 조기퇴직연금 지급 개시 시점 등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현재 퇴사할 경우 받을 금액과, 정년 혹은 몇살까지 근무했을 때 얼마정도의 연금을 수령할 수 있는지 같이 알아보겠습니다. 

1. 사학연금 퇴직연금 요약(기준소득월액 포함)


1. 사학연금의 정의 및 퇴직연금 산정 원리   

가. 개념

  1) 사학연금 대상자

   - 사립학교 교사 및 교직원, 전문대학 및 대학교 교직원, 대학병원 교수 및 교직원(간호사, 행정직 등), 일부 학교법인 소속 직원

  2) 사학연금 정의 : 사학연금 대상자가 재직 중 매달 납부한 기여금을 기반으로 퇴직 후 일정 금액의 연금을 수령하는 제도

  3) 산정기준 : 납입 기간 보수월액(기준소득월액)에 따라 결정(10년 납입자 부터 수령 가능

 * 계산 공식 :  기준소득월액 평균 x 지급률(사학연금 지급비율) x 재직연수 

 * 기준소득월액(3년간 평균 보수액), 지급률(1.9% 2025년 기준), 재직연수(실근무 기간)

 

 

2. 사학연금관리공단에서 퇴직연금 및 퇴직 일시금 확인 방법

가. 신고방법

① 네이버에 '사학연금관리공단'입력하여 로그인 합니다[아래 링크로 바로 들어가셔도 됩니다]

https://www.tp.or.kr/tp-kr/index.do

 

'연금 서비스' 클릭합니다. 

'교직원기본현황' 탭에서 현재 기준 정년예상일(정년예상초과 란에서)을 확인할 수 있고, 기준소득월액도 알 수 있습니다. 

[그외 최초임용일, 부담금 등 현재 까지 사학연금 관련 모든 정보가 해당 탭에 있습니다] 

 

'예상퇴직급여(재직자)' 에서 미래 연금 규모 알 수 있습니다. 퇴직일시금, 퇴직연금, 퇴직수당 등 다 확인 가능합니다. 

  - 조회 구분에서 '현재기준'으로 조회하시면, 현재 퇴사할 경우 받는 규모입니다. [10년 이하면 퇴직일시금만 가능합니다] 

  - 저는 10년 미만이라 금액이 적습니다. 

 '예상퇴직급여(재직자)'  조회 구분에서 '미래기준'으로 누르시고, 예상퇴직일(예상 정년, 교직원기본현황에서 확인 가능), 예상공무원 보수인상율(%)을 입력하시면됩니다. 

미래 상황이 불확실할 수도 있으니 저는 보수적으로 예상공무원 보수인상율을 2%로 작성했습니다. (직장 내규에 따라 호봉만 오른다고 가정, 개인적으로 이 수치를 더 높여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 모든 예상치는 인상률, 연금지급률, 제도 변경, 조기퇴직연금 지급시기 등에 따라 실제 지급액이랑 다를 수 있습니다

 

제가 정년까지 일을 하고, 연봉이 매년 2%씩 올랐다는 가정을 했을 경우, 저는 퇴직일시금을 선택하게 되면 5억원 대를 받을 수 있고, 퇴직연금을 선택하게 된다면 매달 400만원 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인상율을 3%로 하게되면 일시금 7억원대, 연금 590만원입니다] 

 

 

♣ 기타사항 : 조기퇴직연금 지급 개시 시점에 따라 연금감액지급률이 상이합니다.

[현재 기준으로는 퇴직 후 1년 마다 75%에서 5% 씩 오릅니다. [정년 이후 5년 더 해야 100%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요즘 노인 퇴직 시점과 연금 수령 시점을 현실화 하기 위해서 정년을 연장하는 논의가 되고 있습니다. 현재는 그 두 시점 간 공백 5년이 존재하지만 시대 흐름에 따라 연금 수령 시점과 퇴직 시점이 같아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2. 마무리


오늘은 사학연금 대상자는 어떻게 되고, 퇴직연금이 어떻게 산정되고, 퇴직연금 및 퇴직일시금을 어떻게 조회하는지에 대해 명료하게 설명드렸니다.  

사학연금 대상자는 국민연금 대상자에 비해 퇴직금도 없고, 부담금을 많이 납부해서 실수령으로 찍히는 금액이 적어 부담이 컸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오랜기간 동안 꾸준히 부담금을 넣게되면 퇴직 후의 삶이 풍요로울 수 있습니다. 저 또한 정년 까지 근무하고, 임금인상이 큰 문제 없이 조금씩 인상된다면, 보수적으로 퇴직 후에 300-400만원 퇴직연금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해당 포스팅을 통해 사학연금 퇴직연금에 대해 더 이해하셨길 바라며, 재테크 성공하시길 바랍니다.

이만 포스팅 마치겠습니다~! 양질의 정보로 다시 찾아뵙겠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