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최고의 정보를 찾는 K-EXPLORER입니다 ♣
우리는 대한민국을 지키는 군인들 덕분에 마음 편히 발 뻗고 잘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휴전국가인 우리나라는 군인들이 국가 위기 상황 혹은 전쟁을 대비하여 매일 훈련을 하고, 경계태세를 지니고 있으며, 국가를 위해서 희생을 하고 있습니다. 최근에 군인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국방부에서 경각심을 가지면서, 병역의무가 필수인 병사들의 월급이 상향되었습니다. 예전에는 병사들의 월급이 몇만원도 안되는 시절이 있었지만, 2023년부터 군인 임금이 지속적으로 인상되고 있으며, 2025년에는 병장 월급이 200만원대(적금 포함) 시대에 도달하였습니다.
오늘 포스팅을 통해 우리나라를 지키는 군인들 : 장교(소위, 중위, 대위 소령 등), 부사관(하사, 중사, 상사 원사), 병사(이병, 일병, 상병, 병장) 월급[기본급(봉급), 수당 등]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1. 군인 월급(병사, 부사관, 장교) 요약
1. 군인 임금 총정리
가. 군인 종류(간부, 병사) 개념
1) 간부(직업 군인) - 모병제(장기복무)
- 간부(장교, 준사관, 부사관) 직급(신분)의 군인들 중 장기복무를 하고, 군대에서 복무하는 것을 직업으로 삼는 군인들
- 장기복무 임용 간부 시험 등을 합격하여 군 복무를 하는 군인들은 대부분 모병제이며, 군인(공무원)으로 구분됨(군인연금 등)
- 간부(장교) 직위(직책) : 소위, 중위, 대위, 소령, 중령, 대령, 준장, 소장 등 [이번 블로그는 대표적인 소위 중위 대위 소령 까지 다루겠음]
- 간부(부사관) 직위(직책) : 하사, 중사, 상사, 원사, 준위 등
2) 병사 - 징병제(단기복무)
- 대한민국 병역의무로 의무 복무하는 군인들이며, 군대의 구성에서 대부분을 차지함.
- 간부 지휘 아래 단기복무로 대한민국을 지킴.
- 병사의 직위(직급) : 병장, 상병, 일병, 이병
나. 군인 종류(병사, 간부)
1) 병사(병장,상병,일병,이병)
가) 내용
- 병사 월급은 2023년부터 본격적으로 임금 인상을 하였으며, 2025년 기준 병장이 150만원을 지급받음(적금 포함 시 200만원)
- 추가적으로 병사가 전역할 때, 2천만원~3천만원 모아서 전역할 수 있도록 장병내일준비지원금 지원(정부가 약 1000만원 지원)
나) 장병내일준비지원금(군적금)
- 정부에서 병사들이 18개월 이상의 기간 동안 군 병역을 하면서 전역 후에는 돈을 모아서 갈 수 있도록 장병내일준비적금 설계
- 본인 납입한 금액만큼 정부에서 동일한 금액을 지원해주는 방식 (납입액의 2배) (전역 시 약 2000만원 적금 수령)
항목 | 내용 |
월 납입액(최대) | 550,000원 |
총 납입 기간 | 18개월 |
본인 납입 총액 | 9,900,000원 |
정부 지원금 | 9,900,000원 |
예상 이자 | 약 400,000원 |
전역 시 총 수령액 | 약 20,200,000원 (약 2천만원) |
다) 월급 봉급표(기본급 본봉) (육군 기준)
구분 | 이병 | 일병 | 상병 | 병장 |
2025년 월급(본봉) | 750,000원 (75만원) |
900,000원 (90만원) |
1,200,000원 (120만원) |
1,500,000원 (150만원) |
2025년 복무기간 | 2개월 | 6개월 | 6개월 | 4개월 |
2025년 최종 수령액 (내일준비지원금 포함) |
약 1,300,000원 (약 130만원) |
약 1,450,000원 (약 145만원) |
약 1,750,000원 (약 175만원) |
약 2,050,000원 (약 205만원) |
2) 직업군인(간부)(부사관 및 장교)
가) 공통내용(부사관 및 장교)
- 직업군인(간부)들은 병사들과 달리 호봉제로 이뤄져 있으며, 본봉(기본급) 이외에 다양한 수당을 받습니다.
- 본봉은 공무원 보수규정에 따라 직위별 호봉별 기본급(봉급) 금액이 정해져있음
- 군대(육군, 공군, 해군, 해병대 등), 직군(특임대, 보안, 기무사 등), 근무지와 업무성격 등 개개인 마다 수당은 상이할 수 있지만, 군인들에게 적절한 수당이 지급이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수당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수당 항목 | 지급액(월) |
정액급식비 | 140,000원 |
정근수당 | 기본급의 50% 지급(연 2회 지급) |
가족수당 | 20,000원 |
명절휴가비 | 기본급의 60% 2회(연 2회 지급) |
주택수당 | 월 최대 160,000원 |
시간외근무수당 | 최대 100시간(기본급의 약 1.5배 수준) |
나) 부사관 월급 [부사관 봉급표(기본급 본봉) (1호봉 기준) 및 수당 포함 예상 연봉]
구분 | 하사 | 중사 | 상사 | 원사 |
2025년 월급(기본급) (1호봉 기준) |
2,000,900원 (약 200만원) |
2,046,400원 (약 205만원) |
2,384,500원 (약 238만원) |
3,447,400원 (약 345만원) |
호봉 범위 (본봉 범위) |
1호봉~10호봉 (200만원~223만원) |
1호봉~22호봉 (205만원~400만원) |
1호봉~19호봉 (238만원~429만원) |
1호봉~15호봉 (345만원~499만원) |
2025년 예상 월급 (기타 수당 포함) |
약 270만원~300만원 | 약 320만원~350만원 | 약 400만원~450만원 | 약 500만원~550만원 |
다) 장교 월급 [장교 봉급표(기본급 본봉) (1호봉 기준) 및 수당 포함 예상 연봉]
구분 | 소위 | 중위 | 대위 | 소령 |
2025년 월급(기본급) (1호봉 기준) |
2,017,300원 (약 202만원) |
2,163,900원 (약 216만원) |
2,710,100원 (약 271만원) |
3,268,300원 (약 327만원) |
호봉 범위 (본봉 범위) |
1호봉~3호봉 (202만원~220만원) |
1호봉~7호봉 (216만원~277만원) |
1호봉~12호봉 (271만원~420만원) |
1호봉~14호봉 (327만원~519만원) |
2025년 예상 월급 (기타 수당 포함) |
약 270만원 | 약 300만원 | 약 360만원 | 약 450만원 |
라) 호봉표(병사 및 간부(장교, 부사관))
인사혁신처
인사혁신처 홈페이지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www.mpm.go.kr
지표서비스 | e-나라지표
담당 부서 및 연락처 : 국방부, 복지정책과, 02-748-6614 최근 갱신일 : 2025-01-24(입력예정일 : 2026-01-15) 자료 출처 : 『공무원보수규정』(대통령령)[별표13] 공표 주기 : 1년
www.index.go.kr
2. 마무리
오늘은 2025년 군인 [장교, 부사관, 병사, 월급[기본급(봉급), 수당 등]에 대해 설명드렸습니다. 우리나라 안보를 위해서 근무하는 군인들을 위해서 임금이 지속적으로 개선될 필요가 있으며, 다행히 최근 병사 임금 수준이 적금포함 최저임금 수준은 도달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는 의무복무 법이 존재하기 때문에 우리나라 보안를 위해 1년~2년 이상의 기간을 희생하는 군인들을 위해 감사함을 표할 필요가 있습니다. 향후 부사관 및 장교로 지원, 혹은 병사로 입대예정인 분들 해당 포스팅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이만 포스팅 마치겠습니다~! 양질의 정보로 다시 찾아뵙겠습니다~!
'재테크 및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SKT 무료 유심 교체(USIM) 및 유심보호서비스 무료 가입 신청 방법(SKT유심정보 해킹, 개인정보유출, 유심교체 예약) (0) | 2025.04.26 |
---|---|
가족관계증명서(제출용, 열람용) 발급 방법(인터넷 발급, 무인발급기, 동사무소) (1) | 2025.04.24 |
혼인관계증명서 발급 방법(인터넷, 동사무소, 무인발급기, 사용용도 등) (0) | 2025.04.23 |
2025년 청와대 개방 예약 방법(관람신청, 관람코스, 주차, 야간개방 등) (1) | 2025.04.22 |
국민건강보험공단 환급금 조회 및 신청 방법(본인부담금 환급금 돌려받기) (1) | 2025.04.21 |